SKT는 '눝'이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내세우며, 나름 파격적인 요금제를 선보였습니다. 바로 망내 통화 무제한!!! 더욱이 이 요금제는 35000원부터 무제한이라는데 더욱 놀라움을 금치 못했지요. 나온지 얼마되지 않아 KT와 LG U+에서 비슷한 요금제를 내놓긴 했지만, (역시) 시장 선도 기업이라는 입장에서 놀라운 시도임은 확실한 듯 합니다. 과연 어떤 통신사가 사용자에게 좀 더 유리한 혜택을 주는 것일지 알아볼까도 했지만, 뭐... 그런 정보는 몇번 검색하면 나올정도로 많은 분들이 다루고 계시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간단히 제 의견만 쓸까 합니다. 놀랍다~! 무제한 통화 요금제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전 일단 SKT의 도전에 찬사를 보냅니다. 결국 타사(KT, LG U+)의 비슷한..
지난 블로그 글에서와 같이 KT의 4G서비스 합류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사(SKT, KT, LGU+)가 본격적인 LTE 대결에 들어갔습니다. 무제한 요금 출시 후 3G에서의 폭풍 데이터량을 소화하기 버거워하는 과정에서 학습한 기술들을 4G망에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SKT와 KT, 처음부터 4G에만 집중투자하여 가장 빠른 전국망을 구축하고 있는 LGT 하지만 광고나 기사들을 보면 SKT, KT, LGU+는 같은 4G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용어를 사용한 기술들을 주장하며 자신들이 최고라고 자부합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각 사에서 4G를 위해 적용한 기술들이 무엇이며, 과연 어떠한 이점들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SKT의 PETA 솔루션 SKT는 PETA 솔루션을 통한 최고의 데이터 품질(통..
2월 중순 KT는 갑작스럽게 삼성 스마트TV에 대한 망 접근을 제한한다는 발표를 합니다. 아니!! 이게 왠 날벼락?? (글쓰기를 미루다보니 너무 늦어졌네요 ^^;;) 이유도 모른채 망접근제한을 당하게 된 삼성은 어리둥절한게 딱 들어났는데요... 실제 이 "5일 전쟁"은 삼성이 협상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겠다는 결론으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KT의 판정승이라는 여론 끝에 이도저도아닌 해프닝이 되어버린 듯 합니다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한번은 터져야할 고름이 이제서야 터진 것이지요. 방송통신위원회의 무능놀이 사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아이폰의 등장과 함께 이듬해 물 밀듯 쏟아지는 사용자들의 3G 사용량을 감당하지 못했습니다. 정말 실제로 사용자들이 그만큼 사용할 것이라 예상을 못한 것인지, 무제한 요금..
7월 1일 국내최초 타이틀을 내걸고 SKT와 LGU+는 LTE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과거 3G를 갖고 SKT와 KT가 서로 전쟁하던 시절을 생각하면 아직은 애들 장난같은 수준이지만, 그래도 LTE라는 시대적 흐름이 광고에도 잘 스며들고 있는 듯 하여 재미있네요. (예전 SKT와 KT의 광고전쟁은 정말 흥미진진했지요. SKT의 콸콸콸, 주체못할 버스, 고속도로 질주장면 등을 통해 3G망의 강점을 부각한 것이 인상적이었고, 이에 비해 KT는 WiFi존을 무기로 유선망을 토대로 한 자신들의 강점을 이동 단말에 적용한다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비록 KT는 자승자박을 한 결과가 되어버렸지만요...) 따라서 이러한 특징이 광고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지요 ^^ (게으름 피우는 사이에 새해가 되고 KT..
- Total
- Today
- Yesterday
- warp
- LTE요금제
- 비교
- 요금
- 클라우드
- 망중립성
- 포트포워드
- 2011
- 라즈베리
- infosecurity
- CISSP
- 설정
- 갤럭시
- ssd
- SKT
- iptime
- 공유기
- 후기
- 삼성
- mac
- 리눅스마스터
- PC
- KT
- 클라우드 서비스
- 3G
- 라즈베리 파이
- 포트포워딩
- 애플
- LTE
- 정기승차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