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 글은 어디까지나 IPTIME의 제품을 기준으로 작성됨을 알려드립니다. 필자가 사용하는 공유기가 죄다 IPTIME밖에 없네요... 뭐... 다른 제품들 역시 유사한 기능과 설정법을 지니기 때문에 본 문을 보시면 충분히 이해하고 설정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정확히 모델이 되는 필자의 공유기는 IPTIME N604M 입니다.

여러차례에 걸쳐서 공유기의 각 기능들을 설명해드릴까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포트번호"라는 것의 간략한 설명과 함께 공유기 설정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DDNS 설정을 다뤄보았습니다. 전 시간에 배운 DDNS 설정을 통해서 이제 집 밖에서도 집안에 있는 컴퓨터(정확하게는 공유기)에 접근하실 수 있을텐데요~ 이제는 집안의 여러기기들 혹은 PC에 구동중인 여러 응용프로그램들을 구분하여 접근할 수 있는 '포트포워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IP주소와 포트에 대한 간략한 이해가 있어야 더욱 쉽게 설정을 진행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IP주소와 포트번호에 대한 정의 및 내용을 우선 설명하고, 이 후 포트포워딩 설정화면들을 적어내려가볼까 합니다.

 

포트의 동작원리 및 IP주소

일반 사용자들은 IP주소만 입력을 하면 대부분의 목적지에 도착한다고 생각하십니다. 하지만 포트번호라는 기본적인 사항이 하나 더 있는데요. 각 프로그램들은 각각의 용도에 맞도록 표준화된 포트주소를 IP주소에 자동으로 붙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실을 모르고도 쓰시는 분들이 많았을 겁니다.
예를 들자면 FTP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포트번호 21을 이용합니다만, 파일질라에서 해당 주소를 들어갈때 굳이 xxx.xxx.xx.xxx:21이라는 식으로 포트번호를 입력하지 않지요.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연결이 되는 이유는 파일질라에서 포트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21을 요청하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기본적으로 서버의 용도에 맞춰 사용되는 포트번호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물론 각 서비스의 서버 셋팅에 따라서 해당 포트번호들은 다른 번호로 대체하여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21 : FTP서비스
22 : ssh서비스
23 : Telnet 서비스
25 :  SMTP 서비스
80 : HTTP 서비스
110 : POP3
115 : SFTP
3389 : 원격데스트탑
5900 : VNC 

대부분의 포트번호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경로를 참고하세요.
(http://www.iana.org/assignments/service-names-port-numbers/service-names-port-numbers.xml)

IP주소와 함께 전달받은 포트번호를 통해서 해당 서버는 어떠한 서비스를 연결해주어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지요.


개인서버 활용과 공유기의 힘!! (2.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자! 이제 해당 포트번호와 IP주소를 활용하기 위한 공유기 세팅에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공유기에 접속을 해볼까요?

1. 192.168.0.1 주소로 공유기 설정화면을 들어갑니다.(IPTIME 기준)
  - 공유기에 접속한 단말에서 해당 주소를 입력해야 됩니다.
  - 만일 DDNS를 이미 설정하셨다면 해당 주소를 입력하셔도 아래의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xxx.iptime.org)

이 화면에서 공유기에 관련된 모든 설정이 이루어집니다. 무선랜이 접속할 때 묻는 암호들도 다 이 공유기 설정에서 이뤄지는 것이지요.


2. [관리도구]를 들어간 후 [고급설정]->[NAT/라우터 관리]를 눌러보지요.


3. [포트포워딩] 을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시면 각 규칙에 따라서 비슷한 IP들이 서로다른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공유기에 PC 두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192.168.0.16과 192.168.0.20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여러가지 경우에 대해서 어떻게 설정해야하는지 비교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3-1. 한 PC에서 서로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연결하기

자~ 규칙이름 중에 'ftp'와 'Splash'를 비교해 보도록 하죠. 둘다 내부IP는 192.168.0.16(이하 컴퓨터1) 인 PC로 설정합니다. 컴퓨터1에 FTP서버와 Splash라는 어플의 서버를 함께 설치해놓고 외부망에서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포트를 구분하여 세팅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같은 IP를 사용하는 PC이기 때문에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포트밖에 없는거지요~) ftp서버는 외부포트 21로 셋팅을 하고, Splash는 6783 포트를 사용하게 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포트를 구분하면 외부에서도 다음과 같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FTP서버 : xxxx.iptime.org:21
Splash서버 : xxxx.iptime.org:6783

이렇게 하면 같은 PC(한 IP주소)에서도 다른 응용프로그램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3-2. 한 공유기내에서 각기 다른 PC에 접근하기  

그럼 이제 공유기 내의 다른 PC에 외부에서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확인해보지요. 규칙이름 중 '원격데스크탑'과 'VNC'를 확인해보면 간단히 알 수 있습니다. (RDP와 VNC은 대표적인 원격 방식 중 2개입니다.) 3-1의 경우를 이해하셨다면 이 케이스는 쉬울꺼에요. 왜냐면 각 PC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입력하고, 포트로 구분을 하면 되는 거지요. 자세히 보시면 원격데스크탑은 192.168.0.20이고, VNC는 192.168.0.16로 세팅을 했지요??
이렇게 설정을 해 놓으면 다른 포토로만 접근하더라도 다른 PC에 접근하게 된답니다.


이렇게 포트 포워딩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VPN 설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