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SD의 급부상(사실 몇년전부터 부상이었지만...)에 따라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방식도 설정하는 부분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바로 SSD의 태생적 특성 때문인데요. 하드디스크와는 태생적으로 다른 원리에 의해서 제작되는 SSD는 플래시 메모리, 쉽게 설명하면 오히려 USB나 RAM에 더 가깝습니다.
이러한 특징때문에 기존에 사용하시면 하드디스크와는 약간은 다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뭐... 물론 사용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그러기에는 가격적인 부담이 아직은 심하지요?
SSD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버(Solid State Driver)의 약자로 기존의 하드에 있던 기계적인 부품들이 없어지고 메모리 반도체로만 이루어져 소음이 적고 발열이 나지 않는다(기존 HDD에 비해)는 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부품이 없기에 외부 충격에도 강하고, 기울어져 기동이 되더라도 큰 타격을 입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형기기(노트북 등)에 적합한 차세대 이동식저장매체라고도 할 수 있지요.
그리고 무엇보다 많은 분들이 열광하는 것은 바로 속도입니다.
이번에 새로 출시한 삼성의 SSD 830이라는 제품인데요.
나름 최신의 인터페이스인 SATA3 지원의 제품으로 읽기는 520MB/s, 쓰기는 400MB/s(최대) 만큼의 속도가 나옵니다. 기존의 HDD식 하드들이 평균적으로 70MB/s의 속도를 내는 것에 비하면 엄청난 발전이지요.
문제는 가격이었는데요. 그래도 2008년 128G가 40~50만원 하던 시절과는 달리 거의 절반 가까이 떨어졌기 때문에, 다시금 투자자(사용자)의 손길이 가고 있습니다.
64G나 128G의 제품을 마스터 디스크로 놓고 OS의 속도를 극대화하고 보조디스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PC를 꾸미는 것이 기본적이지요.
SSD 설정을 위한 기본적인 내용들도 함께 적을까 하다가 이 글에서는 시간 관계상 "AHCI모드 설정"에 대해서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HDD로 XP를 설치해서 사용하시는 분이 기분 좋게 SSD를 설치하시고 포맷을 한 후 XP를 새롭게 설치한 후 기쁘게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잠깐!
"AHCI모드"
이 모드로 SSD가 운영되고 있는지 한번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전반적인 속도향상과 안정성을 보장하고, 우리가 왜 비싼 돈을 주고 SSD를 구입했는지에 대한 보장을 해주는 첫번째 셋팅 작업인 것입니다.
AHCI에 대한 설명은 하단의 더보기를 통해서 진행합니다.
이제 AHCI가 뭔지는 모르더라도 뭔가 필요한 놈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이미 설치되어 있는 XP에서 AHCI를 어설프게 켰다가는... 블루스크린을 보기 쉽습니다.
아! BIOS에 있는 설정값의 변경으로 AHCI모드를 켤 수 있습니다. (이건 하단의 모든 설치가 완료된 후에 키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계속 블루스크린만 보실꺼에요.)
[출처 : http://www.sutton-kyouwa.com/wpj/36pc.htm]
이제, 이미 IDE모드(기본)로 XP를 설치하신 경우에는 어떻게 SSD를 AHCI모드에서 돌아가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진행해보겠습니다.
1. BIOS에서 설정값을 변경하시기 전에 Intel AHCI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합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메인보드 칩셋이 어떠한 버전의 것인지를 확인하고 정확한 드라이버를 받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2. 이제 장치관리자를 통해서 해당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2-1. 해당 장치의 정보]
상단(그림 2-1)을 보시면 "Intel ICH9M-E/M SATA AHCI Controller"라는 장비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장비는 장치관리자의 장치 리스트 중 [IDE ATA/ATAPI 컨트롤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그림 2-2 참고])
이 화면은 이미 변경된 정보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고 실제로는 "Intel ICH9M-E/M SATA Series 어찌구 Controller" 라던지 유사하지만 AHCI라는 단어는 빠져있게 되어 있을 겁니다.
2-1.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눌러 드라이버를 설치하도록 하지요~
[2-3. 설치중1 화면]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누르면 상단(2-3)의 화면으로 전환이 됩니다.
위의 상태에서 "목록 또는 특정 위치에서 설치(고급)"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을 누르시면 됩니다.
2-2. 다음으로 넘어가면, 검색 및 설치 옵션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2-4. 설치할 드라이버를 직접 선택]
상단(2-4)의 화면에서 1번에서 다운받은 드라이버를 설치해주기 위해서 "검색 안 함. 설치할 드라이버를 직접 선택"을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2-3. 드라이버 선택 화면에서 해당 드라이버(다운받은)를 선택해줍니다.
[2-5. 드라이버 선택화면]
"디스크 있음"을 통해서 드라이버를 선택하도록 합니다.(다운받은) 이때 주의하실 점은 반드시 자신의 Controller와 맞는 드라이버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ICH10M-E/M이라는 버전도 있을 것이고 ICH8M-E/M이라는 버전도 있기 때문에 기존의 어떠한 Controller를 사용하셨는지를 꼭 다시 확인하시고 설치하세요.
2-4. 드디어 AHCI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2-6. 완료]
2-5. 이제, 재부팅을 하신 후 제일 처음 사진처럼 BIOS 설정에서 AHCI모드를 켜시면 됩니다.
2-6. 장치관리자를 다시 들어가 드라이버가 변경된 것을 확인하시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신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IT Tip > IT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 사용 PC의 최적화 방법 (2) | 2011.12.02 |
---|---|
IT 산업과 건축(토목)업의 관계 (0) | 2011.11.24 |
[영화 속 IT]<7> 다시금 바로 보는 개인정보의 중요성 – The Net (0) | 2011.11.12 |
본 슈프리머시 - 영화속의 IT기술 part3. (0) | 2011.10.18 |
아일랜드와 센서 기술 - 영화를 통한 IT기술 살펴보기 part2. (0) | 2011.10.09 |
- Total
- Today
- Yesterday
- 2011
- 리눅스마스터
- 애플
- PC
- 클라우드 서비스
- 라즈베리
- mac
- 3G
- 포트포워딩
- 삼성
- CISSP
- 요금
- SKT
- 클라우드
- LTE
- 설정
- 정기승차권
- ssd
- infosecurity
- 후기
- 갤럭시
- 망중립성
- KT
- iptime
- LTE요금제
- warp
- 라즈베리 파이
- 공유기
- 포트포워드
- 비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