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Max OS X의 버전은 정확히 '10.7.2' 라이언입니다.
해당 버전에서 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처음 서버를 구축해보기 때문에 많이 부족한 점이 있지만, 혹시라도 저와 같은 분들이 계시리라는 생각에 느끼고 배운 것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선 웹서버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웹서버나 ftp서버나 맥 OS에서는 일정부분 편의성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단순히 체크만 하고 간단한 설정만 하면 바로 진행되기 때문이지요.
특히나 웹서버 설정 역시 쉬운 이유는 웹서버 아파치(Apache)가 Mac OS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단한 설정만으로도 웹서버 설정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물론 WAS나 DB는 이 이후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차후의 글을 통해 차근차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MacOS에서 웹서버 켜기
여러분들이 상상하시는 그 이상으로 쉽습니다. ^^
1-1) 환경설정으로 들어가신 후 [공유]를 선택합니다.
1-2) 공유화면에서 중간쯤에 있는 [웹공유]의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1-3) 설정 끝입니다 ^^ 이것으로 웹공유를 위한 기본적인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1-2) 사진의 오른편에 주소를 브라우저에 직접 쳐보시면 It Works 라는 글이나 특정 페이지들이 나오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정상적으로 작업이 완료되신 겁니다.
2. 각 계정의 작업 디렉토리
http://localhost/ : HD:/라이브러리/webserver/Document/ (컴퓨터 웹 사이트 폴더)
http://localhost/~사용자/ : HD:/usr/사용자/사이트/ (개인 웹 사이트 폴더)
각 경로를 통해서 각각 PC와 사용자에 해당하는 웹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즉, 해당 경로에 작업하신 파일들을 올려놓으시면 웹 서버(아파치)에서 인식 후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것으로 간단한 웹서버 설정하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톰캣(Tomcat)과 오라클(혹은 MySQL) 설정하는 법을 계속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IT Tip > Mac OS 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 OS에 설치된 VMWARE(Windows)에 접근(원격접속)하기 (9) | 2011.12.02 |
---|---|
Mac OS X Lion에 Xcode3 깔기 (0) | 2011.09.1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클라우드 서비스
- ssd
- iptime
- 공유기
- 설정
- LTE
- 라즈베리
- 요금
- 애플
- 갤럭시
- infosecurity
- 정기승차권
- 포트포워딩
- LTE요금제
- 후기
- mac
- 리눅스마스터
- 망중립성
- SKT
- 3G
- PC
- 2011
- 삼성
- 클라우드
- KT
- 라즈베리 파이
- CISSP
- 포트포워드
- 비교
- war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